반응형

2025/08 3

"힘" 있는 말 입니까.?

말을 하기 전에 꼭 한 번은 생각해야 할 세 가지"옳은 말인가? 꼭 필요한 말인가? 그리고 친절한 말인가?"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말을 주고받으며 살아갑니다. 가족과의 대화, 회사에서의 회의, 친구들과의 수다, 카톡 메시지 한 줄까지. 그 모든 말들이 모여 나의 이미지를 만들고, 관계를 만들어갑니다.그런데 우리는 과연 얼마나 '생각하고' 말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삶을 더 따뜻하게 만들 수 있는 '말하기 전에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세 가지 질문'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1. 이 말은 옳은 말인가요? 단순히 ‘사실인가?’를 넘어서, 이 말이 진심에서 나왔는지,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인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요즘은 근거 없는 말들이 너무 쉽게 퍼져나갑니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 지나친 비난,..

특검의 칼날이 뼈아픈 이유: 맹자의 '사단'을 잃어버린 사람(?)들....

인간은 본래 선한 존재일까요, 아니면 악한 존재일까요? 수천 년을 이어온 순자와 맹자의 논쟁이 오늘날 대한민국 정치판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인간의 본성과 사회의 역할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자 오랫동안 순자의 성악설을 믿어왔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사악하다"는 말이 왠지 현실적이고 냉철하게 느껴졌다. 마치 날카로운 칼날 같은 인간의 본성을 교육과 법으로 잘 다듬어야 비로소 빛을 발한다는 그 비유가 참 와닿았다. 그런데 요즘 뉴스에 나오는 대한민국 정치판을 보면, 그 생각이 더 확고해지는 것 같아서 마음이 좀 복잡하다. 규제가 느슨해지면 끝없이 추락하는 인간의 사욕을 보면서, 순자 선생님이 요즘 세상을 봤다면 고개를 끄덕이셨을 것만 같다. 순자의 성악설, 거울에 비친 정치..

불의는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 우리는 왜 불의 앞에 침묵하는가?세상은 때로는 '정의'의 이름으로 불의가 자행되며, 우리는 그것을 알면서도 고개를 돌립니다. 『Justifying Injustice』는 바로 그런 순간들에 주목합니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혹은 의도적으로 ‘불의’를 어떻게 합리화하고, 스스로를 납득시키며 살아가는지를 예리하게 파헤치는 철학적 탐구서..이글에서는 『Justifying Injustice』의 핵심 줄거리를 요약하고, 이 책이 던지는 철학적 질문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Justifying Injustice』는 정의와 불의에 대한 단순한 대립 구도가 아닌, **“왜 우리는 불의를 합리화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저자는 역사, 철학, 사회학, 정치학적 관점을 종합해 불의의 정당..

카테고리 없음 2025.08.0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