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여는 복된 문패입춘대길(立春大吉): 봄을 여는 복된 문패입춘대길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을 맞아 집안의 문설주에 붙이는 길상문구다. '봄을 세우다'는 뜻의 '입춘'과 '크게 경사로우라'는 의미의 '대길'이 합쳐진 이 말은 새봄의 시작과 함께 큰 복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전통적 소망이 담긴 표현. 조선시대부터 이어온 풍습으로, 보통 한지에 먹으로 쓴 후 대문이나 기둥에 걸어두어 액운을 막고 길운을 불러들이는 의미다. 역사적으로 입춘대길은 농경사회의 시간관이 반영된 문화 코드로, 봄의 도래를 천지의 순환과 연결해 인간의 삶이 자연 리듬과 조화를 이루어야 풍요로워진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특히 입춘날 아침에는 동짓날 담근 청동엿을 먹으며 한 해 건강을 기원하거나, 볏가릿대를 세워 풍년을 ..